[SOH] 홍콩 정세가 긴박해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 국방부의 우첸(吳謙) 대변인은 24일 기자회견에서, 홍콩 정부의 요청이 있으면, 중국군 홍콩 주둔부대가 출동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로써 1989년 6월 8일, 중국 당국이 민주화를 요구하는 학생을 무력 진압한 일명 톈안먼 사건이 홍콩에서 재현될지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국방부는 이날 2019년 국방백서 발표 기자회견을 열었다. 당시 회견에서 홍콩 매체의 한 기자가 최근의 홍콩 정세와 관련해 국방부가 어떤 대응책을 갖고 있는지를 질문했다. 이 기자는 ‘범죄인 인도법’ 완전 철회를 요구하며 시위에 참여한 홍콩 시민을, ‘홍콩 독립세력’으로 표현했다.
우첸 대변인은 “이 문제에 대해, 중국의 주군법(駐軍法) 제3장 제14조에 명확한 규정이 있다”고 답했다. 이 조문에 따르면, 홍콩특별행정구 정부가 재해 구조나 사회 치안유지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경우 중국군 홍콩 주둔부대에게 출동을 요청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같은 중국의 입장에 대해 해외 매체들 사이에서는 중국군 홍콩 주둔부대가 향후 ‘사회치안 유지’ 명목으로 홍콩 시위자들을 진압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이어지고 있다.
홍콩에서 지난 21일 벌어진 대규모 시위에서 일부 시위자들은 중국 당국의 파견기관인 ‘중앙정부 주 홍콩 연락판공실’의 벽에, 스프레이로 ‘개정안 반대’ 등의 구호와 중국 공산당 정권을 비판하는 문구를 적었다. 중국 국가휘장도 검은 페인트로 뒤덮였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등 관영 매체는 연일 홍콩 시위자를 비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시사평론가 스스(石實)는 ‘고도의 자치와 사법 독립을 요구하는 홍콩 시민을 ‘독립 세력’으로 부른 홍콩 기자의 질문에서 홍콩 매체가 거의 중국 당국에 지배되었음을 알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중국이 홍콩 주둔 부대를 투입해 무력 진압할 가능성을 비췄지만 이는 시위대를 견제하기 위한 것일 뿐 실행될 가능성은 낮다고 진단했다. 무력 진압에 나설 경우, 미국 영국 등 서방국가들이 반드시 제재에 나설 것이고, 홍콩이 세계 금융 센터로서의 지위도 잃게 되기 때문이라는 것이 그 이유다.
한편, 이번 시위와 관련해 제레미 헌트 영국 외교장관은 홍콩의 자유를 보장한 ‘중영(中英) 공동성명’을 준수하지 않으면 ‘심각한 결과를 부른다’고 여러 차례 경고했다.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도 지난달, 중국이 “법을 유린하고 홍콩 시민의 자유를 억압하려 한다”고 비판한 바 있다.
일각에서는 미국이 홍콩에 부여한 무역에서 특권적 대우를 재검토할 것이라는 견해도 나오고 있다. 일부 미 상원의원은 지난달 중국 본토와는 별도로 홍콩에 부여한 ‘독립 관세지역’ 자격을 철회하는 ‘미·홍콩 정책 재평가법(US-Hong Kong Policy Reevaluation Act of 2019)’ 초안을 의회에 제출했다.
지난 9일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천따오샹(陳道祥) 중국군 홍콩 주둔부대 사령관 소장은 지난달 13일, 주둔 부대 본부를 예방한 미 국방부의 데이비드 헬비 아태안보차관보에게 주둔 부대는 홍콩 문제에 간섭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와 별도로 중국 육군 제74집단군은 22일, 중국판 트위터 웨이보 공식계정을 통해 홍콩과 가까운 광둥성 잔장(湛江)시에서 ‘테러 사건’을 가정한 군사훈련을 실시했다고 발표했다.
도현준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