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홍콩 시위를 주도하는 범민주파 연합단체 ‘민간인권전선(이하 민전)’이 홍콩 경찰의 집회 행진 불허 결정과 시위 주도 인사들에 대한 체포 등을 고려해 31일 예정된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반대 시위를 취소했지만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예정대로 진행됐다.
31일(이하 현지시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 홍콩 언론과 외신들에 따르면 전날 민전의 시위 취소 발표에도 불구하고 이날 오전 약 1천명의 시위대가 홍콩의 한 체육공원에서 '종교 집회' 후 행진에 나섰고 이후 시간이 갈수록 참가자 수가 늘어났다.
이날 시위대는 경찰의 집회 금지 명령을 비껴가기 위해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한 종교 집회 형태로 십자가를 들고 찬송가를 부르거나, 도심에서의 '대규모 쇼핑 여행'을 내세워 거리를 행진하며 시위를 이어갔다.
민전이 집회를 예정했던 센트럴 차터가든 공원에도 오후 2시경부터 검은색 옷과 마스크를착용한 청소년과 노인 등 다양한 연령대의 시민이 모여들었다.
이날 시위대는 센트럴 지역에서 애드미럴티 지역의 정부청사로 행진을 하면서 '차이나치'(Chinazi)라 적힌 오성홍기(중국 국기) 현수막을 펼치기도 했다.
홍콩 경찰 당국은 시위대와 경찰의 충돌을 우려해 홍콩 주재 베이징 연락사무소 인근에 바리케이드를 치고 물대포를 배치한 채 시위대에게 불법 시위라는 경고와 함께 해산을 촉구했다.
민전은 전날 홍콩 경찰의 집회 행진 불허 결정과 시위를 주도해온 민주 인사들의 대거 체포되자, ‘참가자들의 안전’을 이유로 31일 홍콩 도심 센트럴 차터가든 공원에서 진행할 예정이던 대규모 집회를 취소한다고 밝혔다.
민전은 이날 오후 3시 해당 공원에서 집회를 가진 후 중앙인민정부 홍콩 주재 연락판공실(중련판) 건물 앞까지 행진할 계획이었다. 31일은 지난 2014년 8월 31일 홍콩 행정장관 간접선거제를 결정한 지 5년째 되는 상징성이 큰 날이다.
홍콩 경찰은 이번 시위를 앞둔 29~30일 송환법 반대 시위를 이끌어온 조슈아 웡(黃之鋒) 데모시스토(香港衆志)당 비서장과 데모시스토당 당원 아그네스 차우(周庭), 앤디 찬 홍콩 민족당 창립자, 엘시아 순(孫曉嵐) 홍콩대 학생회 전 회장 등 범민주 진영 인사들을 무더기로 체포하며 강공을 펼쳤다.
웡 비서장과 차우는 30일 아침 체포돼 조사를 받은 뒤 법원의 보석 결정으로 오후에 풀려났다.
웡은 석방 후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송환법 반대 시위에 계속 참여할 것을 밝히고,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은 더 이상 홍콩의 결정권자가 아니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홍콩 경찰 뒤에 숨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연화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