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의 위구르족 탄압을 강력히 비판해온 미국이 중국과의 무역협상을 앞두고 관련 공공기관과 업체를 거래제한기업 명단에 올리고 관련자들의 비자 발급을 제한한 가운데, 중국이 강력히 반발하며 해당 업체들에 대한 제재 해제를 요구했다.
9일 외신들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워싱턴DC에서 진행되는 양국 고위급 무역협상을 하루 앞둔 이날 성명을 통해 미국의 이번 조치를 내정간섭이라고 비난하며, 거래제한 조치된 중국업체들에 대한 해제를 요구했다.
상무부는 성명에서 △신장 문제에 대한 내정간섭 중단과 △자국 업체들의 수출제한 조치 해제를 요구하고, 자국의 이익을 보호할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으나 그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앞서 미 상무부는 8일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내 위구르족과 카자흐족 등 이슬람 소수민족에 대한 대규모 구금과 학대에 책임이 있거나 공모한 것으로 보이는 중국 공공기관과 기업 등 총 28곳을 ‘거래제한기업 명단’에 추가하고, 이에 관련된 중국 정부 관리와 공산당 간부들에게 비자를 발급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비자 제한은 대상자의 직계 가족에도 적용될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제재 대상에는 CCTV 업체인 하이크비전과 다화 테크놀로지, 메그비테크, 아이플라이크, 센스타임, 샤먼 메이야 피코 인포메이션, 이투 테크놀로지 등 중국의 첨단산업을 이끄는 주요 업체들이 대거 포함됐다.
윌버 로스 상무부 장관은 이날 홈페이지에 공개한 발표문에서 "미국 정부와 상무부는 중국의 소수민족 탄압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이번 제재는 개인과 기업의 자유로운 활동이 보장된 환경에서 육성된 미국의 기술이 소수민족 탄압에 이용되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상무부는 “이들 기관·기업들은 신장의 위구르족과 카자흐족을 비롯해 기타 이슬람 소수민족에 대한 중국의 억압과 대규모 임의구금, 첨단감시 등의 이행에 있어서 인권침해와 유린에 연루됐다”는 점을 제재 배경으로 밝혔다.
미국이 중국과의 무역협상을 코앞에 두고 이번 제재를 단행한 데 대해, 협상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분석이 이어졌지만 미 상무부는 이 조치가 협상과는 무관하다고 밝혔다.
류허 중국 국무원 부총리와 로버트 라이트하우저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 스티브 므누신 미 재무장관은 워싱턴DC에서 10~11일 이틀간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을 진행한다.
구본석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