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없음
仁钦康珠却杰访韩:为他人乞讨是乐事
- 朝鲜日报记者 金润德 (2007.08.28 14:28)
- 像邻家阿姨一样朴素慈祥的这位女性就是负责西藏流亡政府生计的仁钦康珠却杰(Rinchen
Khando
Choegyal)。她在1982年创立了西藏女性联合,曾担任过内务部、保健部、教育部部长。她是达赖喇嘛最小的弟弟康珠却杰的妻子,在由达赖喇嘛领导的西藏流亡政府中,她实际上起着“第一夫人”的作用。
应佛教女性开发院的邀请,仁钦康珠却杰于27日来到了首尔。“此前为了转机曾在仁川机场短暂逗留过十次,今天终于来到韩国了。”面带灿烂笑容的她通过充满幽默感的谈吐和流利的英语征服了韩国女性们。
虽然既不是僧侣,也不是佛教学者,但她作为西藏女尼的代母,拥有极高的声望。她于1987年开设了西藏最早的尼姑庵,在这里支援10~70多岁女僧侣修行。她表示:“虽然为了寻找宗教自由,徒步越过了喜马拉雅雪山,但与男僧侣不同,她们既没有容身之处,也没有学习的地方。我所做的只不过是环游世界为她们‘乞讨’而已。为了自己乞讨是不可取的事情,但是为了他人乞讨却是件乐事。”
当有人提问说:“达赖喇嘛的弟妹这个身份没有给您带来负担吗?”她机智地回答说:“我未曾为了成为达赖喇嘛的弟妹而做出任何努力。”引起哄堂大笑之后,她表示:“在认识我丈夫之前,达赖喇嘛就已经是我的师傅了,我一直为了如师傅所教的一样成为好人、亲切的人而努力。世界上‘重要的’人虽然有很多,但‘好’人却没有几个,不是吗?”
她是在大学时期与西藏转世活佛之一康珠却杰相识的。“虽然在四岁的时候被认定是转世活佛,但丈夫对于自己的活佛身份并不感到高兴,并说,1959年中国收回西藏主权的日子,是自己找回自由的日子。因为讨厌阶级严格的僧侣体制,在二十岁的时候去找自己的大哥达赖喇嘛宣布要脱掉僧服。最近也在奔走忠告僧侣想留发就留发,不要过虚伪的人生,让人感到头痛。”
还是女权主义者的仁钦康珠28日在新闻中心,将以“为了新女性领导能力的灵性”为主题,与韩国女性学家和女权运动家见面
。
“在西藏与韩国,都有许多女性接受高等教育,在社会上也占有一席之地。越是如此,女性就越应该为自己在灵魂上的发展倾注力量。需要兼顾事业和家庭的女性容易发怒,那正是打破家庭和睦的主要问题。应该找到在不吵架的前提下不放弃的方法。”
chosun.com中文版 chn.chosun.com
- DIGITAL CHOSUN Inc.
版权所有,未经许可,不得转载摘编 -
http://chinese.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8/28/20070828000024.html
“자신 위한 구걸 못할 짓, 남 위한 구걸은 기쁜
일이죠”
조선일보 | 기사입력 2007-08-28 03:07 | 최종수정 2007-08-28 15:27
‘달라이 라마 제수씨’티베트 여성지도자 린첸 칸도 방한
옆집 아줌마처럼 수수하고 인정 많게 생긴 이 여성은 티베트 망명정부의 살림살이를 도맡고 있는 린첸 칸도 최겔(61)이다. 1982년
티베트여성연합을 창립했고, 내무부·보건부·교육부 장관을 역임했다. 달라이 라마의 막내 동생인 켄도 최겔의 아내이기도 한 그녀는, 승려인 달라이
라마가 이끄는 망명정부에서 사실상 ‘퍼스트 레이디’의 역할을 하고 있다.
그녀가 불교여성개발원 초청으로 27일 서울에 왔다.
“비행기를 갈아타기 위해 인천공항에 열 번이나 잠깐씩 머물렀는데 드디어 오늘 한국에 왔다”며 활짝 웃는 그녀는 유머 넘치는 입담과 유창한 영어로
한국 여성들을 사로잡았다.
승려도, 불교학자도 아니지만 그녀는 티베트 비구니(여성 승려)들의 대모(代母)로 이름이 높다. 87년
티베트 최초의 여성 비구니 사찰인 ‘돌마 링’을 열었고, 이곳에서 10~70대에 이르는 여성 승려들의 수행을 뒷바라지한다. “종교의 자유를 찾아
걸어서 히말라야 설산을 넘어왔지만 남성 승려들과는 달리 그들에겐 거처할 곳도, 공부할 곳도 없었으니까요. 제가 한 일이라고는 세계를 돌며
‘구걸’한 것뿐입니다. 자기 자신을 위한 구걸은 못할 짓이지만, 다른 사람을 위한 구걸은 기쁜 일이지요.(웃음)”
‘달라이 라마의
제수씨라는 사실이 부담으로 다가오지 않았느냐’는 질문에도 그는 재치 있게 응수했다. “달라이 라마 동생의 부인이 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한 것은
없다”고 말해 좌중을 웃음바다로 만든 그녀는 “남편을 만나기 전부터 달라이 라마는 내 스승이었고, 그 분이 가르친 대로 좋은 사람, 친절한
사람이 되려고 노력했다. 세상에 ‘중요한’ 사람은 많지만 ‘좋은’ 사람은 별로 없지 않은가”라고 되물었다.
티베트 활불(活佛·환생한
부처)의 한 사람으로 꼽히는 켄도 최겔을 만난 건 대학 시절이다. “네 살 때 활불이란 사실이 인정됐지만, 남편은 활불로 태어난 것을 기뻐하지
않았어요. 1959년 중국이 티베트를 점령해 주권을 잃어버린 날이 자기로서는 자유를 되찾은 날이라고 했을 정도이니까요. 위계가 엄격한 승려
체계를 싫어해 스물한 살이 되던 해 맏형인 달라이 라마를 찾아가 승복을 벗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요즘도 승려들에게 머리를 기르고 싶으면 기르고,
가짜 삶을 살지 말라고 충고하고 다녀서 골치랍니다.(웃음)”
페미니스트이기도 한 린첸 칸도는 28일 프레스센터에서 ‘새로운
여성리더십을 위한 영성’이란 주제로 한국의 여성학자들과 여성운동가들을 만난다.
“티베트와 한국 모두에서 많은 여성들이 높은 교육을
받고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지위에 올라갑니다. 이럴수록 여성들은 자신의 영적인 발전에 관심을 기울여야 해요. 일과 살림을 병행해야 하는 여성들은
분노하기 쉽고, 그건 가족의 평화가 깨지는 지름길이니까요. 싸우지는 않되 포기하지 않는 지혜를 터득해야 합니다.”
[김윤덕 기자= 글·사진 sion@chosun.com]
[☞ 모바일 조선일보 바로가기] [☞ 조선일보 구독]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23&article_id=0000273098§ion_id=102&menu_id=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