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 양의사는 병을 볼 때 물질의 메커니즘을 중시합니다. 반면 한의사가 병을 볼 때는 근본을 중시합니다. 완전히 ‘병’이란 개념 자체를 벗어나 병 자체가 아니라 병의 증상(病象)을 일으킨 근본원인을 탐구하기 때문에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병이 낫게 됩니다.
중국 고대의 심리치료에서는 종종 오행 상생상극(相生相剋)을 이용했습니다. 여기서 오행(五行)이란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를 말하는데, 오행은 상호간에 상생(相生)과 상극(相剋)의 관계가 있습니다. 가령 상생에는 목생화(木生火), 화생토(火生土), 토생금(土生金), 금생수(金生水), 수생목(水生木)이 있고, 상극에는 목극토(木克土), 토극수(土克水), 수극화(水克火), 화극금(火克金), 금극목(金克木)이란 개념이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간(肝), 심(心), 비(脾), 폐(肺), 신(腎) 오장에 모두 오행의 속성이 있다고 보는데 다시 말해 간(肝)은 목(木)에 속하고 심(心)은 화(火)에 속하며 폐(肺)는 금(金), 비(脾)는 토(土), 신(腎)은 수(水)에 속합니다. 오장을 오행에 배속할 수 있다면 이들 사이에도 상생과 상극의 원리가 적용되겠지요. 가령 목인 간(肝)은 화인 심(心)을 생합니다. 역으로 목인 간은 토(土)인 비(脾)를 극할 수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또 사람의 정신작용을 오행과 오장에 배속시킬 수 있다고 봅니다. 가령 간은 혼(魂)을 저장하고 심은 신(神)을 저장하며, 비는 뜻(意)과 지혜(智)를 저장합니다. 또 폐는 혼백의 백(魄)을 저장하고, 신은 정(精)과 의지(志)를 저장합니다. 사람의 정신질환은 바로 이들의 작용에 이상이 발생한 것이므로 오장의 상생과 상극의 관계를 이용하면 정신질환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금원(金元) 시대의 저명한 의사였던 주단계(朱丹溪)는 일찍이 아내를 잃은 남편을 치료한 적이 있습니다. 이들 부부는 살아생전 금슬이 매우 좋았기 때문에 아내가 사망하자 남편은 깊은 슬픔에 빠졌습니다. 슬픔이 심한 사람은 병이 생기기 쉽습니다. 한의학에서는 칠정(七情) 중에서 기뻐함(喜)은 심(心)을 상하게 하고 노함(怒)은 간(肝)을 상하게 하며 근심걱정(憂思)은 비(脾)를 상하게 합니다. 또 슬픔(悲)은 폐(肺)를 상하게 하고 놀람과 공포(驚恐)는 신(腎)을 상하게 한다고 봅니다. 주단계는 이 남편을 보자마자 곧 슬픔이 지나쳐 생긴 병임을 알고 오행의 상극을 이용해 처방했다. 슬픔은 폐(肺)를 상하게 하고 폐는 금(金)에 속합니다. 금을 극하는 것은 화(火)이고 오장에서는 심(心)이 화가 됩니다.
그는 환자의 맥을 짚으면서 말했습니다. “당신은 임신한 지 몇 달이 되었군요. 얼마 안 있어 아이를 낳을 겁니다.”
환자는 ‘나는 분명히 남자인데 어떻게 아이를 가질 수 있는가!’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는 생각할수록 우스워서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며 “당신 참 한심한 의사로군!” 하고는 나갔습니다.
그는 이후 만나는 사람마다 “사람들이 모두 주단계가 명의라고 하던데 뭐 대단할 게 있는가? 남자와 여자의 맥도 구별하지 못하면서 나더러 임신했으니 곧 아이를 낳을 거라고 하더군. 이 얼마나 우스운 일인가?”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누구를 만나든 한 번씩 이 이야기를 꺼냈고 이야기를 할 때마다 허허 웃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하자 그의 병은 약을 쓰지 않아도 저절로 낫게 되었습니다. 바로 화극금(火克金)의 방법을 사용해 심장이 주관하는 즐거움으로 폐가 주관하는 슬픔을 치료한 것입니다.
옛날 의사들은 이처럼 오행의 상생상극을 이용한 심리치료를 통해 종종 좋은 효과를 보았습니다. 다시 말해 사람의 칠정(七情)과 오장육부의 오행을 서로 배합한 후 상생과 상극의 방법을 이용해 정신질환을 치료하면 좋은 효과를 보는 것이지요.
예를 들어 신(神)이 상했다면, 이는 심화(心火)의 병이니 신수(腎水)로 다스릴 수 있습니다. 칠정 중에서 신(腎)에 배속된 것은 ‘정(精)’과 ‘의지(志)’이니 이것을 활용하면 ‘신(神)’을 다스릴 수 있고 병도 고칠 수 있다. 또 만약 슬픔이 지나쳐 ‘백(魄)’이 상했다면 이는 폐금(肺金)의 병이니 심화(心火)에 해당하는 ‘신(神)’의 즐거움을 이용해 치료할 수 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하며 소위 ‘칠정(七情)’ 질환을 잘 치료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이외에도 정신이 긴장되지 않는 사람과 번뇌가 없는 사람은 정신질환이 잘 생기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정신이 긴장하지 않을 수 있을까요? 대답은 매우 간단합니다. 바로 사람의 욕망과 집착을 담담하게 내려놓는 것입니다. 많이 내려놓으면 내려놓을수록 더 좋아집니다.
이는 현대의학에서도 밝혀낸 사실입니다. 사람이 긴장하지 않고 번뇌하지 않아 몸이 평형을 잘 유지하면 위장병이나 심장병 발병이 줄어들고 수면의 질도 좋아진다는 것이지요. 그뿐만 아니라 신체 방어와 저항력도 좋아져 비정상적인 기후변화 때문에 발생하는 감기 등의 질병도 줄어들게 됩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