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 가장 좋은 의원은 양생(養生)의 도(道)를 중시할 뿐만 아니라, 양성(養性)의 도 역시 중시합니다. 사람의 성품이 선(善)하면 병에 걸리지 않는다고 여기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환자를 치료할 때도 우선 선량한 사람이 될 것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좋은 의사는 환자에게 꼭 약을 먹어야 한다고 강조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사람에게 병이 발생하는 까닭은 환자의 사상이나 행동에 문제가 있으며, 환자에게 약을 먹이는 것은 질병을 잠시 구제하는 것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만약 환자가 자신의 행동과 사상을 바로 잡을 수 있다면 병이 생기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손사막(孫思邈)은 ‘비급천금요방(備急千金要方)’에서 양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무릇 양성(養性)이란 노력하여 성(性)을 이루고자 하는 것이다. 성(性)이 스스로 선해지면 노력하지 않아도 이롭지 않음이 없다. 성이 기왕 스스로 선하다면 내외의 백병(百病)이 모두 사라질 것이며, 각종 화란(禍亂)과 재해(災害) 역시 생기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양성하는 사람은 단지 약과 음식을 복용할 뿐만 아니라 백 가지 행실을 두루 살피기 때문에 약과 음식을 끊을지라도 수명을 늘릴 수 있다. 그러나 덕행이 부족하면 설사 옥액(玉液)과 금단(金丹)을 먹는다 해도 수명을 연장할 수 없다. 공자가 이르길 ‘섭생(攝生)을 잘하는 사람은 산길을 걸어도 호랑이를 만나지 않는다’라고 했다. 고로 어리석은 자는 수년간 병을 앓아도 행실을 고치려 하지 않으며 병마에 시달려 치아가 전부 빠져도 끝내 후회할 줄 모른다.’
이상의 내용을 보면 고대에는 의사와 환자의 관계를 아주 중시했으며, 훌륭한 의사(聖醫)는 환자의 마음까지도 승화시켜 근본적으로 병을 치료하려 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황제내경 ‘소문-사기조신대론(四氣調神大論)’에 다음과 같은 말이 있습니다. ‘음양을 따르면 살고 거스르면 죽는다. 따르면 다스려지고 거스르면 어지러워진다. 그러므로 성인(聖人)은 병이 발생한 후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병이 발생하기 전에 치료한다.’
‘소문-상고천진론(上古天眞論)’에는 ‘상고(上古)시대 사람은 도(道)를 알고 음양(陰陽)을 본받으며 술수(術數)를 조화롭게 하고 음식에 절제가 있었으며 생활에 일정한 규칙이 있어 함부로 행동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몸과 정신을 모두 온전히 할 수 있었다’라고 했습니다.
‘소문’에서는 풍(風), 화(火), 서(暑), 습(濕), 조(燥), 한(寒) 등 비정상적인 기후변화로 질병이 생기는 것을 피하라고 가르쳤으며, 될 수 있으면 스트레스가 적게 하라고 했으며 지나친 욕망과 집착을 버려야 쉽게 병에 걸리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또한 오운육기(五運六氣)로 병을 판단하고 치료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는데, 여기서 오운이란 오행(五行)으로 금목수화토(金木水火土)를 가리키며, 육기란 기후변화의 육기(六氣), 즉, 풍화서습조한을 말합니다. 오운과 육기를 1년 사계절에 적용하면 특정한 해에 어떤 병이 발생할지 미리 예측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계미(癸未)년에는 ‘금역(金疫 오행중 금의 기운이 허해져서 호흡기에 나타나는 유행병)’이 발생하는 것을 예측하는 것과 같습니다.
이와 같이 질병의 발생을 미리 알 수 있으면, 풍한(風寒)이나 습열(濕熱) 등 육기의 피해를 입지 않게 할 수 있지요. 상고시대의 성인(聖人)은 ‘허사(虛邪)와 적풍(賊風)을 피하는 데는 때가 있다’고 했습니다. 또한 상고 시대 사람의 정신과 물질생활 역시 모두 소박했기 때문에 병이 쉽사리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황제내경에서는 이를 가리켜 ‘마음이 담담하여 비워지면 진기(眞氣)가 따르고, 정신이 안을 지키는데 병이 어찌 올 수 있겠는가?’라고 표현했습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