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후나이원(胡乃文 중의사)
[SOH]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 처방에는 황금(黃芩), 황련(黃連), 황백(黃柏), 치자(山梔子) 이렇게 네 가지 약재가 들어갑니다. 얼핏 봐선 그다지 해독능력이 없어 보이는 이 네 가지 약재가 어떻게 해독을 할 수 있을까요?
여기서 알아야 할 것은 옛 사람들이 말하는 독(毒)이란 열독(熱毒) 내지는 습독(濕毒)이란 것입니다. 그리고 황련해독탕은 주로 습열을 해독하는 처방이지요. 이 처방에 쓰이는 네 가지 약재는 공통적으로 맛이 쓰고 성질이 찬 고한(苦寒)의 약으로서 이런 종류의 약들은 대부분 위(胃)를 상하게 합니다.
그래서 고대의 의사들은 이 약들의 독성을 제거하는 한 가지 방법을 고안해냈죠. ‘약은 곧 독이다’라는 말이 있듯이 황제내경(黃帝內經)에서는 독약(毒藥 독성이 있는 약이란 의미)으로 내장의 병을 치료한다고 했습니다. 다시 말해 모든 약은 전부 독이란 뜻이죠. 약에 기왕 독이 있다면 어떻게 그 독성(毒性)을 제거할까요? 바로 포제(炮製)하거나 다른 약을 배오(配伍)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포제란 약재를 씻거나 자르는 방법으로 가공해 독성을 제거하는 것을 말합니다. 배오란 원래 약재와 성질이 상반(相反)되거나 중화(中和)작용하는 약을 함께 넣어 원래 약의 독성을 줄이고 효능을 강화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렇게 포제나 배오를 하면 약재의 독성을 제거하면서 약성은 그대로 남길 수 있습니다.
황금(黃芩)은 상초(上焦)의 화(火)를 내리는데, 여기서 상초란 횡격막 위의 가슴 부분을 말합니다. 황련(黃連)은 중초(中焦)의 화를 다스립니다. 중초는 횡격막 아래에서 배꼽까지를 말하죠. 황백(黃柏)은 하초(下焦)의 화를 다스리는데 하초는 배꼽 아래 복부를 가리킵니다.
다시 말해 상중하초의 개념은 사람의 가슴과 배 부위를 위에서부터 아래까지 세 부분으로 나눈 것입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초에는 폐, 심장, 기관 등이 포함되어 있고, 중초에는 간, 담(膽 쓸개), 비(脾), 위(胃) 등이 있으며, 하초에는 대장, 소장, 방광, 신(腎), 자궁, 난소 등이 있습니다. 인체의 오장육부는 모두 이 상중하 삼초에 분포되어 있는데, 황금, 황련, 황백 이 세 가지 약은 각기 상초, 중초, 하초의 화를 다스릴 수 있습니다. 더욱이 치자(梔子)는 상중하 삼초의 화를 모두 다스릴 수 있는 약입니다. 황련해독탕은 바로 이 네 가지 약이 함께 어우러져 작용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